환절기 감기조심...

으슬으슬 추워질때 콩나물 삶은물로 끓인 따끈한 어묵탕 어떠한가?

 

어묵국 대신

콩나물 삶은물로

시금치 된장국이나 라면 각종 국이나 찌개를 끓이면 맛이 좋다~!

 

재료

콩나물 350g 1봉지

(청양)고추 2개

양파 1/2

어묵 2장

간장 3T

다진마늘1/2T

왕멸치 2마리(or 멸치가루나 국시장국 1T)

고추가루 1t

참기름 1t

물 가득 2공기정도

소금, 후추

 

 

간만에 따끈한 콩나물국이 먹고 싶은데...

한봉지로 콩나물 다 끓이면 너무 많아..

그리고 길다보니 국물 떠먹을때 자꾸만 내 턱을 어루만져주네 >.<

그냥 무치기로 결정!!!

식당에선 비록 찬밥신세지만

집에서 먹는 콩나물 무침...

 반찬으로도 좋고

고추장 한숫갈 넣고 밥비벼먹어도 너~무 좋아~

 

콩나물은 구입하면 바로 하루이틀내에 손질을 해야 손도 덜 간다

 

대충 깍지만 골라내고 물에 몇분 담궈놨다가 3회정도 물을 바꿔 씻어서

 

 

 

냄비에 물 2공기를 붓고 콩나물을 넣고

다진마늘 고추 소금을 1찻술갈정도 샥샥 뿌려주고 후추 솔솔...

 

 

콩나물 두봉지를 넣었더니 냄비밖으로 막 삐져나오네;;;;

왼손으로 콩나물을 잡아놓고 오른손으로 뚜껑을 재빨리 덮었다 ㄷ ㄷ ㄷ

 중불에 뚜껑을 닫고 꺼낼 때까지 열어보지 말고~

 콩나물을 삶기 시작하는데

지금은 물이 거의 안보이지만

콩나물을 건져내게 되면 적당한 국물양이 된다

콩나물을 수증기로 찌는 셈이 되나?

 

얼려놨던 어묵은

끓는물에 담궈 살랑살랑 흔들어 기름을 제거해주면

맛이 한결 낫다.. 

먹기 좋게 썰어주고

양파도 채썰어 준비해둔다..

 

 

콩나물이 팍팍 끓으면서 나오는 김에

냄새를 조심;해서 맡아보고 비린내가 나지 않으면 익은것~

약 1-2분후 뚜껑을 열고 양파 투척...

 

양파는 신경쓰지 말고 콩나물을 넓은 양푼에 젓가락으로 전부 건져내서

넓게 펴서 김을 빼주면 더 아삭아삭해진다!

 

 

건져낸 콩나물에

간장 2T와 고추가루 다진마늘 아주 조금 넣어도 되는데

끓일때 넣었으므로 생략했다..

간보고 나머지 간은 소금으로 해주었다..

 

팍팍 무치다가 참기름으로 마무리~

 

 

 

 

콩나물 건져낸 국물에

간장 1T로 색을 내고 멸치가루나 국시장국 정도로 육수맛을 내준후

어묵과 두부도 있으면 살짝 넣고

소금으로 약간 싱겁다 싶게 간을 맞춘다...

  

 

이렇게 해서 콩나물 한번 투척해서

 진하고 고소한 국물의 오뎅국과 아삭아삭 콩나물 무침

두마리 토끼를 잡았다!!

쌀쌀한 날씨엔 콩나물 무침과 오뎅국 도전~!

 

고깃국을 좋아하지않아

자체 발명? 미역국 으하하~

 

기름 둥둥 뜨지 않고

비릿~ 하지 않고

폭신한 감자까지 먹을 수 있지롱~

 

고기없을때 이런 미역국 어떠한가?

 

 

재료

 

건미역 1/2 손바닥 - 진짜 손바닥 반만해야 된다잉?

감자 1개

참치캔 150g 1개

다진마늘 1T

참기름 1T

간장 3T

소금과 후추 약간

(기호에 따라 국간장이나 국시장국 1T)

 

 

 

미역을 2,30분 불려서 먹기 좋은 크기로 가위로 잘라

쪼물딱 쪼물딱 씻어서 거품을 빼고

물에 2-3번 행궈서 물기를 빼고

 

참치는 채반이나 조리에 받쳐 기름기를 쪽~ 빼준다

기름기 짜낸다고 꽉꽉 짜지 않아도 지가 알아서 기름기 다 빠진다...5분이면 충분..

 

감자1개는 한입에 먹기좋은 크기로.. 두께 약 5mm 이내로 나박나박 썰어둔다

감자에 전분이 많으면 물에 스르륵 한번 행궈주어도 좋다..

 

그동안

 

냄비에 넣고 다진마늘1T.간장 3T,와 후추를 넣고 간이 베이게 잘 섞어준후

참기름 1T를 넣고 달달 볶아주고~

 

 

미역에 물기도 걷히고 간장이 타기 전에

물 1리터를 붓고

물이 팔팔 끓으면

 

채에 건져두었던 참치와 

썰어두었던 감자를 넣고

 

(으흐... 무선포트가 물을 끓여주어 끓는물을 부어주니 참 좋군...

끓는물을 사용하게 되면

그냥 바로 물과 참치 감자 모두 한꺼번에 넣으면 되시겠다!!!)

 

사진에 물이 너무 적다.

물 가득가득 부어준다...

 

 

물이 팔팔 끓으면 뚜껑을 덮고 약불로 줄여 끓이다가..

국간장이나 조선간장이 없는 관계로 국시장국으로 마무리하고

소금으로 약간 싱겁다 싶게 간을 맞춰서 (식으면 짜지니께~)

숫가락으로 감자를 똑 잘라보고 익었으면 먹으면 되시겠다!

 

 

워때~! 기름기 하나두 없지?

개운하고 고소한 참치 감자 미역국을 즐겨보자!

 

두부 매번 부치기 귀차니즘;;..

영양만점 채소듬뿍 양념간장과 두부부침

냉장고에 넣어놓고 몇 조각씩 꺼내 먹으면 좋아~

 

 

재료

두부 2모

계란 2개

오일

 

양념간장 재료

(청양)고추 작은 것 4개

양파 1/2 (대파가 좋은데 요새 비싸더군!)

간장 6T

고추가루 1-2T

깨 (있으면) 1T

참기름 1T

다진마늘 1T

 

두부를 사진처럼 약 8mm 두께로 썰어서

사이사이 벌려서

도마를 개수대 부근에 기울여두면

물기가 잘빠진다

 

 

계란 두개를 풀어서

준비된 두부를 퐁당 담궈서 손으로 살짝 잡아서 건져...

 

 

달군 팬에 기름을 붓고 부쳐부쳐..

노릇노릇 살짝 바삭하게 구어져야 맛있어~

 

대강 구워진 애들은 포개서 기름빼는중?

기름과 두부를 계속 집어 넣으면서

부쳐부쳐~

 

 

두부를 부치는 동안

 간장을 준비하는데

고추와 파나 양파는

최대한 잘게 다져야 두부위에 얌전히 앉아있겠지?

 

 

분량의 간장.. 나는 간장을 넉넉히 만들어서

어묵 볶음이나 튀김간장이나 밥도 비벼먹고 뭐 그렇게 사용..

아니면 나중에 또 두부를 부쳐서 얹어도 굿~!

 

많이 만들어두면 쓸모가 많아~

 

여튼

간장에 고추가루 고추,양파, 다진마늘, 깨 등등등.... 뭐 굴소스도 넣으면 맛있으려나?

넣고...

뒤적이면

 

이건 간장이라기보다 죽처럼 되직해진다..

여기에 마지막으로 참기름 한 수꾸락 투척

그래서 짜지않아~! 

뒤적뒤적...

 

 

부쳐진 두부를 뜨거울 때 넓게 펴서 간장을 사진처럼

약 반정도씩만 얹는데 이때 간장보다는

간장에 있는 건더기를 건져서 얹는다는 느낌으로 (밑줄 쫙~)

아낌없이 팍팍....

 

 

 

 

또 한층을 두부로 쌓고...

또 간장...

또 두부

또 간장...

반복하는데..

 

 

고층으로 갈수록

간장양념건더기가 거의 두부 전체를 덮다시피 얹는다...

왜인지는 알 것 쥥?

혹시나 두부에 물기가 남아있게 되면 수분이 생기는데..

간장이 흘러내리면서 위아래 간이 대략적으로 적절히 맞게 되기 때문..

식고난 후 요 자작한 국물이 두부의 부드러운맛을 유지해준다 캬하~

 

무조건 많이 만든다.. 왜?

귀찮으니까~

그리고 또 왜?

 많이 먹으니까~ >.<

 

 

식으면 냉장고에 보관한다..

 

한가한 주말엔

밥도둑 양념간장 두부부침을

만들어 보자..

 

« PREV : 1 : ···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 : 43 : NEXT »